좌골신경통 원인 증상과 운동

건강과질환.질병

좌골신경통 원인 증상과 운동

하율하준하게 2023. 10. 12. 07:00

좌골신경통 원인과 증상 그리고 운동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좌골신경통(Sciatica)은 좌골신경(Sciatic Nerve)이라는 척수 신경의 염좌 또는 압박으로 인해 발생하는 통증을 가리키는 의학적인 용어입니다. 좌골신경은 허리 부위에서 발끝까지 이어지는 척수 신경 중 하나로, 허리에서 엉덩이, 대퇴부, 종아리, 발끝까지의 다리와 발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1. 좌골신경통 원인

●디스크 혹은 척추 디스크 탈출 (Herniated Disc):

디스크는 척추 간 갈라진 부분으로, 디스크의 내부 물질이 디스크의 외부로 누출하거나 디스크가 압박을 받을 경우, 이로 인해 좌골신경이 압박을 받게 되어 좌골신경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척추 관절의 염증 또는 압박:

척추 관절의 염증이나 관절의 변형으로 인해 신경에 압박이 생길 수 있습니다.

●척추관 협착증 (Spinal Stenosis):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신경에 압박을 주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근육이나 연골의 손상:

다리 주변의 근육, 인대, 연골 등의 손상이나 염증으로 인해 좌골신경에 압박이 생길 수 있습니다.

●요통 (Lower Back Pain):

허리 부위에 발생한 요통이 좌골신경으로 통할 때도 좌골신경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척추관좁혀짐 (Spondylolisthesis):

척추 한두 개가 다른 척추로 이동하면서 척추관이 좁아지고, 이로 인해 신경 압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척추의 비정상적인 형태:

척추의 선처럼 비정상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거나 척추의 변형으로 인해 좌골신경 압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좌골신경통  증상

●통증:

좌골신경통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통증입니다. 이 통증은 허리 부위에서 시작하여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발끝까지 뻗어갈 수 있습니다. 통증은 종종 한쪽 다리에 제한되며, 통증의 강도는 가벼운 따가운 느낌부터 심한 통증까지 다양할 수 있습니다.

●돌발성 통증:

종종 활동 중이나 기침, 재채기와 같은 일상적인 움직임이나 활동 시에 통증이 갑자기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발바닥의 저림 혹은 근육 약화:

좌골신경의 압박으로 인해 발바닥에 저림 또는 무감각한 느낌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근육 약화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보행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저한(마비) 또는 무력감:

통증과 함께 종아리 근육에 저한(마비) 또는 무력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허리 통증:

좌골신경통은 종종 허리 부위에서 시작하며, 허리 부분에도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좌골신경통의 증상은 증상의 심각도와 원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통증이 심한 경우 일상 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3. 좌골신경통 치료와 운동

●스트레칭 운동: 피라미드 스트레칭(Pyramid Stretch):

다리의 뒷면 근육을 늘리기 위한 스트레칭 운동으로, 종아리 근육을 스트레칭합니다.

●무릎 가슴에 당기기(Knee-to-Chest Stretch):

허리의 압박을 줄이고 척추를 늘리는 데 도움이 되는 스트레칭 운동입니다.

●피라미드 허리 돌리기(Pyramid Twisting Stretch):

허리와 골반 근육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되는 스트레칭 운동입니다.

●근력 강화 운동:

복근과 허리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은 허리 안정성을 높이고 좌골신경에 가해지는 압박을 줄일 수 있습니다.플랭크(Plank), 다리 들어올리기(Leg Raises)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유산소 운동:

유산소 운동은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체중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걷기, 수영, 자전거 타기 등이 유산소 운동의 예시입니다.

●얼음과 열 기법:

통증 완화를 위해 얼음 팩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염증을 줄이고 근육을 이완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열 팩은 근육 경직을 완화하고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의료 전문가의 지도 하에 운동:

치료 중에는 재활 전문가, 물리치료사, 또는 체육 치료사의 지도 아래에서 운동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약물 치료:

경우에 따라 통증 완화를 위해 의사가 처방한 진통제나 항염제를 복용할 수 있습니다.

●시술적 치료:

만약 좌골신경통이 심각한 경우, 주사 치료, 척추 조작, 혹은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옵션은 심각한 경우나 다른 치료가 효과가 없는 경우에 고려됩니다.

 

 

 

■결론

 

좌골신경통은 각 개인의 증상과 원인에 따라 다양한 치료 접근법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의사와 전문가의 지도 아래에서 개별적인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치료와 함께 예방을 위해 일상 생활에서 자세 관리와 체중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