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면증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치료법,수술)

건강과질환.질병

기면증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치료법,수술)

하율하준하게 2023. 9. 26. 07:07

오늘도 다양한 질환에 알아볼께요. 기면증의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은 뭐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기면증은 낮 시간에 과도하게 졸리고 REM 수면의 비정상적인 발현, 즉 잠이 들 때(입면, hypnagogic)나 깰 때(각성) 환각, 수면 마비, 수면 발작 등의 증상을 보이는 신경정신과 질환이다.

 

 

1. 기면증 원인

기면증은 생각만큼 그 수가 적은 질환이 아니어서 연구에 따르면 성인 중 약 0.02~0.18%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면증은 간질이나 단순한 심리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수면 기전의 이상, 특히 REM 수면 억제 기전의 이상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추신경계에서 하이포크레틴을 가진 50,000-100,000개의 시상하부 신경세포의 소실과 관련이 있다는 증거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청소년기에 생기는 하이포크레틴 세포의 자가면역성 파괴 때문에 생기는 것이 대부분이라는 가설이 세워졌다.

 

 

2. 기면증 증상 

가장 흔한 증상은 수면발작(sleep attack)으로, 참을 수 없는 수면이 엄습해 오는 것을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이 증상은 흔하게 졸도발작(cataplexy), 즉 갑작스럽게 근력의 손실이 오는 증상과 함께 일어난다. 다른 증상으로는 수면과 각성 사이에 REM 수면의 요소가 반복적으로 갑자기 뛰쳐나오는 수가 있으며, 이는 잠이 들 때나 깰 때의 환각 증상으로 나타나고, 수면이 시작되거나 끝날 때 나타나는 수면마비(sleep paralysis)로도 나타나는데 아침에 일어날 때 가장 흔하게 일어나며 의식은 있으나 근육을 움직일 수 없다.

 

 

3. 기면증 치료방법 

●약물 치료

대표적인 약물은 모다피닐(Modafinil)로 전통적인 중추신경 흥분제에 비해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되어있다. SSRI 와 같은 항우울제도 REM 수면의 비정상적인 발현에 의한 증상 조절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되어있다.

약물치료가 중요하나 규칙적인 낮잠과 같은 생활습관 교정, 심리 상담, 그리고 약물 내성을 줄이기 위한 '휴약기(drug holiday)' 등의 통합적 치료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경과/합병증

기면증은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으나 주로 청소년기나 이른 성인기에 발생하고 대체적으로 30세 이전에 발생한다. 질환의 경과는 느리게 진행하는 경우도 있고 일정 수준에서 머물러 평생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관련질병

주간졸림증, 탈력발작, 수면마비, 입면시 환각, 각성시 환각

 

결론 

기면증은 어린시기나 청소년기에 시작되며 평생 지속되는 만성적인 증상이 있습니다. 그래서 발생후 초기 치료가 중요합니다. 

그냥 지나 치지 마시고 꼭 검사받고치료 하시길 바람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