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폐색 원인 증상!

건강과질환.질병

장폐색 원인 증상!

하율하준하게 2023. 11. 9. 07:14

장폐색 원인 증상

 

장폐색(腸閉塞, intestinal obstruction)은 소화기의 일부인 장(종아리)에서 발생하는 병리적 상태로, 장의 내부나 외부 요인에 의해 장의 움직임이 방해되어 장이나 장 부분이 막혀 통과가 어려워지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소화과정이 방해되며 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장폐색 원인

기계적 원인 (Mechanical Causes):

●장 폐쇄물 (Adhesions):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연조직 및 흉터 등이 장을 붙이고 장의 움직임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식도의 암종:

식도가 장을 누르거나 막아서 장폐색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고름 (Hernias):

복부의 내장이 복부벽의 흉터나 어금니 등을 통해 튀어나와 장을 압박하여 장폐색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게실 (Volvolus):

장의 일부가 회전하거나 뒤집힘으로 인해 장의 통과가 차단됩니다.

●고름폐쇄 (Intussusception):

장 한 부분이 다른 부분으로 들어가 여러 층으로 쌓이게 되어 통과가 막힙니다.

●실린더관 (Strictures):

장 내부에 생긴 좁아진 부분으로 인해 통과가 어려워집니다.

 

기능적 원인 (Functional Causes):

●신경 및 근육 장애:

장의 근육 움직임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 신경 손상 또는 근육 이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 저혈류 (Ischemic Bowel):

장의 혈류가 감소하거나 차단되는 경우, 장조직에 손상이 생겨 장폐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염증성 장질환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염증성 장질환은 장의 염증과 괴사로 인해 장폐색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장폐색 증상

●복통(Abdominal Pain):

가장 흔한 장폐색 증상 중 하나로, 복부의 어느 부분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복통은 종종 급격하고 심하며, 통증은 지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구토(Vomiting):

화장물이 아무런 경고 없이 나타날 수 있으며, 구토물은 처음에는 위내용물이 포함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더 흔들린 내용물로 바뀔 수 있습니다.

●변비(Constipation):

장폐색으로 인해 대변 통과가 차단되면 변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변이 정상적으로 배설되지 않으며, 복부 팽만감과 더불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복부 팽만감(Abdominal Distension):

장폐색은 복부에 공기와 내장물질이 쌓여 복부가 부어오를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복부가 팽만되고 단단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가스나 대변 배출의 어려움:

장폐색으로 인해 대변과 가스가 장에서 통과하기 어려워집니다. 이로 인해 가스와 대변을 배출하기 어려워지며, 종종 소리와 통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메스꺼움(Nausea):

식욕부진과 메스꺼움이 장폐색과 함께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복부 소음(증강됨)과 복부 압통(Tenderness):

복부 소음은 장운동이 느려지거나 중단되어 정상보다 낮아진 소리를 나타낼 수 있으며, 복부 압통은 복부 부위가 통증이 있을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3. 장폐색 치료와 예방

치료

●병원 입원 및 평가:

장폐색 의심시 환자는 병원으로 즉시 이송되어 의료진에게 평가를 받아야 합니다. 의사는 병력, 증상 및 신체 검사를 기반으로 초기 진단을 수행합니다.

●수액 및 영양제:

환자가 통과된 물질을 흡수하기 위해 정맥을 통해 수액과 영양제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내시경 검사 또는 방사선 검사:

의사는 장폐색의 정확한 원인을 식별하기 위해 내시경 검사(콜로노스코피 등) 또는 방사선 검사(CT 스캔, 복부 X선)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대장적출술(Chirurgical Intervention):

기계적 장폐색의 경우, 종양이나 폐쇄물을 제거하거나 복부의 이상 부분을 치료하기 위해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 중 장 부분이 제거되었다면 대장 끝났나 달려서 배액된다는 설명을 수렴할 수 있으며, 이럴땐 후천적으로 대장적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기능적 원인의 경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약물 치료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방

●기본 건강 유지: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고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며 신체 활동을 유지하면 장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수술 후 조심: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연조직 형성(흉터)이 장을 붙이고 장폐색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수술 후 주의가 필요합니다.

●기존 소화기 문제의 관리:

염증성 장질환(크론병 또는 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소화기 문제를 가진 환자는 치료 계획을 준수하고 의사와 협의하여 장폐색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장폐색은 심각한 상태이며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장폐색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고 치료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건강과질환.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두염에 알아보자.  (98) 2023.11.14
후두염 원인 증상 알아보기  (74) 2023.11.11
편도염 증상 치료  (24) 2023.11.08
편두통 약으로 해결?? 절대...No  (112) 2023.11.07
안와골절 알아보아요.  (99) 2023.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