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류성 식도염의 원인과 증상및 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반대 방향으로 흐름)하는 상태를 가리키는 의학적인 용어입니다. 주로 "GER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로 불립니다. 이 질환은 위의 소화액이 식도로 역류하여 식도에 염증을 일으키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1. 역류성 식도염 원인
●괄약근의 약화 또는 이상 기능:
역류성 식도염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는 식도와 위 간의 연결을 닫는 괄약근(Lower Esophageal Sphincter, LES)의 약화 또는 이상 기능입니다. LES는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괄약근이 약해지면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기 쉬워집니다.
●비만:
과체중 또는 비만은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위험 요인 중 하나입니다. 비만은 복부 내압을 증가시켜 괄약근을 약화시키고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식습관:
고지방, 고단백, 고양념, 고칼로리 식품의 과다한 섭취, 과도한 커피나 알코올 소비, 시간이 늦은 저녁식사, 과식, 향신료나 탄산음료 등 식습관도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흡연:
담배 연기에 포함된 화학물질은 LES의 기능을 약화시키고 역류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임신:
임신 중에는 자연적으로 내부 압력이 증가하고 호르몬 변화로 LES의 기능이 약화될 수 있으므로 역류성 식도염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약물:
일부 약물은 LES의 약화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로써 역류성 식도염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에는 비스무트, 아스피린, NSAID(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등이 포함됩니다.
●기타 요인:
장기간의 경련, 무릎근에 관한 문제, 식도 또는 위의 해부학적 이상, 가슴 부상 등도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 역류성 식도염 증상
●속쓰림 (Heartburn):
가슴의 중간 또는 하부에서 느껴지는 화끈한 또는 끊임없는 통증 또는 불편함으로, 이것이 역류성 식도염의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특히 식사 후 또는 누워있는 동안 증상이 악화할 수 있습니다.
●식도염과 역류:
위산과 소화액이 식도로 역류하여 입에 쓴 맛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구토와 같은 역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슴 통증:
속쓰림과 함께 가슴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때로는 심장 질환과 혼동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역류성 식도염으로 인한 가슴 통증은 일반적으로 심장과 관련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불면증:
역류성 식도염은 특히 야간에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불면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식도 염증 및 난화:
만성적인 역류로 인해 식도 내부에 염증이 생길 수 있으며, 이것은 통증과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식도 내의 염증이 심해지면 난화(식도 점막의 손상)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화 불량:
역류성 식도염 환자는 식사 후 소화 불량, 포만감, 가스, 복통 등 소화 관련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희귀한 증상:
드물게는 목의 느슨한 느낌 또는 목소리 변화, 기관지염, 아스마와 같은 호흡곤란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3. 역류성 식도염 치료법
●라이프스타일 및 식습관 변경:
식사 습관 개선: 큰 식사 대신 작고 자주 먹는 것이 좋습니다. 식사 후 2~3시간 동안 눕지 않고 일어나도록 노력하세요.
●식단 조절:
지나치게 지방, 양념, 고칼로리 음식, 초콜릿, 커피, 알코올 및 탄산음료를 피하십시오. 식이섬유가 풍부한 과일, 채소, 곡물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체중 관리:
비만이 역류성 식도염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체중 감량을 고려하세요.
●약물 치료:
흡산억제제 (Proton Pump Inhibitors, PPIs): PPIs는 위산 분비를 억제하여 역류를 줄이고 식도 염증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예로 오메프라졼 (Omeprazole), 란슬로프라졼 (Lansoprazole) 등이 있습니다.
●H2-수용체 차단제:
위산 분비를 줄이는 H2-수용체 차단제도 역류성 식도염 치료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시간대에 약 복용:
PPIs 및 기타 약물은 일반적으로 식사 전에 복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위세안 및 내시경 검사:
치료가 효과가 없거나 합병증이 있는 경우, 위세안 또는 내시경 검사를 통해 식도나 위의 내부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수술적 치료가 고려될 수 있습니다.
●위산 분비를 줄이는 다른 약물:
PPIs에 반응이 없는 환자나 중등도에서 심각한 역류성 식도염을 가진 환자에게는 베론리스타트 (Baclofen)와 같은 약물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약물은 LES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
치료가 효과가 없거나 중등도에서 심각한 합병증이 있는 경우, 항향성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수술은 LES의 기능을 복원하거나 개선하여 역류를 방지합니다.
치료 방법은 환자의 상태와 증상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고 진단을 받은 후에 치료 계획을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처방받은 약물을 정확하게 복용하고, 의사의 지시를 따르며, 필요한 경우 주기적으로 모니터링을 받아야 합니다.
'건강과질환.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궤양 원인과 증상및 치료 알아보기 (229) | 2023.10.03 |
---|---|
백반증?? 원인과 증상 치료 (188) | 2023.10.02 |
혈액암 종류와 증상 치료방법 (104) | 2023.09.30 |
갑산선암 원인 증상과 수술 (139) | 2023.09.29 |
지방간 원인과 증상 치료 방법 (169) | 2023.09.28 |